청주시 본관』활용 여부 주요 쟁점 - 치열한 토론, 그 결과는 청주시는 지난 13일 내덕동 청주문화산업진흥재단 영상관에서 효율적 청사 건립을 위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미 시는 통합청사 건립과 관련 9월 14일, 10월 11일, 11월 22일 3차의 토론회 및 간담회를 통해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했으며, 이번에는 직접 시민참여를 유도하는 공개 토론회 형식으로 진행했다.
이전 3차례의 토론회에서는 허브센터, 구 청주역사 등과 연계한 광장조성 및 도서관 전시관 등의 시설이 포함된 주민편익시설 등 시민을 위한 열린 공간 마련, 도시재생차원의 공공복합청사로 건립, 공모전 MP제도 활용 등을 통한 전문가 관리 용역 필요성, 저명한 건축사 지명 설계를 통한 관광명소화로 구도심 활성화 추진, 본관 동 존치 여부 등의 의견 도출 및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본관의 존치 여부 등에 대한 논의가 주요 쟁점이 됐다.
먼저 1부 행사로 서울시청사 기본설계를 했던 유걸 건축사가 시민을 위한 청사 건립 방향에 대한 주제 발표를 했으며, 2부로는 충청대 손세원 부총장의 사회로 9명의 패널이 참석한 토론이 이어졌다.
토의 결과 첫 번째 토론자인 청주지역건축사회 류흥열 건축사는 본관 건축물이 일본 건축양식의 영향을 받은 건축물로서 백악관이나 청와대 같이. 그 행정기관 등을 대표할 수 있는 건축적․상징적 가치가 없는 건물이며, 노후 본관 건축물은 내진 보강 등이 필요한 시설로 유지 관리를 위한 필요 비용이 수반되는 바, 철거 후 청주시를 상징할 수 있는 건축물로 새롭게 신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재희 건축사는 본관이 시청사 부지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어 신청사 건립시 건축 계획적 측면의 제약으로 효율적 청사건립이 지난하며, 경제적 측면에서 추가공사비 및 보존 및 관리비용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향후 청주시 미래를 위해 철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청주대 박상구 교수와 오재만 건축사는 청주시 본관을 보존했으면 좋겠지만, 현재의 상황에서 여러 측면을 고려했을 경우 원형 보존 보다는 철거 후 입면 등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등을 통해 본관의 역사성 등을 계속 이어나갈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대안을 제시했다.
청주대 도시계획과 김영환 교수는 본관 철거를 전제로, 천안시 동남구청의 사례를 들며 도시계획 및 도시재생적 측면에서 시청사 건립시 국토부의 지원을 받아 복합청사(행정청사와 민간건축물 타운 형성) 개발방식의 건설을 통해 원도심 활성화 등이 함께 이루어졌으면 하는 주장했다.
유원대학교 조중근 교수(전 문화재청 문화재 위원)는 청주시 본관은 행주를 형상화란 건축물로 당시의 시대적 조류가 담긴 건축물로 보존을 주장했고, 충북참여연대 강태재 고문은 본관은 역사 문화적 가치가 높은 건축물이며, 1960년대 남아 있는 몇 되지 않는 관청 건축물로 역사성 등을 강조하며 토론시간 내 계속적으로 원형보존을 강력히 주장했다.
당일 참여한 대다수의 토론자는 본관을 철거 또는 철거 후 본관 활용에 비중을 뒀다.
청주경실련 최윤정 사무처장은 시민을 위한 지속적인 토론회 개최 주장과 함께 현 위치의 부적정성과 현재의 정치적 상황 등을 고려해 기본 청주시청 부지와 함께 내덕동 옛 연초제조창 부지 등에 1청사 2청사 등으로 구분, 청사를 효율적으로 건립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현 시점에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청주시 김용규 의원은 소모적인 찬․반 논쟁보다는 철거 및 존치시 장․단점을 비교해 시민에게 알리고 홍보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의 열린 토론회를 개최해 시민이 본관 존치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의견을 줬다.
한편 청주시는 간담회 토론회 등에서 나온 의견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본관 건축물 보존 여부를 2018년 초까지 결정 후 설계공모를 실시할 예정이다.
통합시청사는 현 청주시청 부지 내 2019년 하반기 착공해 2022년 하반기 준공할 계획이다./임헌선 기자.